조선시대 등록(謄錄)체계의 기록학적 의미와 현대적 변용 (2012년 8월)
조선시대 기록관리체계; 등록; 등록체계; 현대적 변용
다문화 기록화 연구 (2012년 2월)
기록화; 다문화; 도큐멘테이션 전략
소셜 네트워크 서비스(SNS)를 통한 기록정보서비스 발전 방향 : 민주화운동사료관을 중심으로 (2012년 2월)
기록정보서비스; 이용자 참여; 온라인 기록관;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; SNS; 소셜웹
서울대학교 기록관의 역사기록물 관리방안 연구 (2012년 2월)
대학기록관; 역사기록물; 행정기록물; 매뉴스크립트; 대학기록관리
영상 아카이브로서의 접근성 연구 (2012년 2월)
영상 아카이브; 대한뉴스; 접근성; 내용기술; 검색도구
국방기록물 선별 및 평가에 관한 연구 (2010년 2월)
기록관리; 기록물; 평가; 아키비스트;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; 정부기능분류체계(BRM)–Records Management; Archives; Appraisal; Archivist; Record Act; Business Reference Model
동서독 기록관리 정책과 통합과정 (2009년 8월)
서독 연방아카이브; 동독 중앙아카이브; 기록물 반환; 기록관리기관 교류·협력; 인력통합; 통합과정–West German Federal Archive; East German Central Archive; records and archives return;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archives; personnel integration; unification process
해군 구술기록의 수집 방안 연구 (2009년 2월)
구술 기록; 구술사 방법론; 해군사; 대한해협 해전; 전투 기억–Oral History Sources; Oral History Methodology; Naval History; the Battle of Korea Strait; Battle Memories
조선총독부 外事記錄의 관리 개선 방안 연구 (2009년 2월)
조선총독부 외사기록; 영사관; 분류; 기술; 이용자; 기록정보 서비스–Chosun Governor General offices Administration Official Diplomatic Records; consulate; classification; description; user;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
초중등학교의 학교 매뉴스크립트 관리 방안 연구 (2009년 2월)
초중등학교; 학교 기록 관리; 매뉴스크립트; 학교 매뉴스크립트; 학교 기록관